티스토리 뷰




휴먼 라이브러리, 사람책을 아시나요?

Human Library, Human Book








1. 휴먼라이브러리의 개념


 휴먼라이브러리(Human library)사람책을 빌려주는 도서관을 말한다. 조찬식(2014)은 휴먼라이브러리를 일반 매체가 아닌 사람이 정보자료가 되어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서관 서비스라고 정의하였다

 사람책(Human book)은 일반 도서관 자료와는 다르게 이용자와 끊임없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며 정보의 교환을 점차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이는 웹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고도화, 다양화, 개인화 되어가고 있는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하는 도서관 서비스가 될 수 있다.



2015, Kazinczy Living Library 

2011, the Council of Europe's European Youth Centre Budapest 리빙 라이브러리



 휴먼라이브러리는 2000년도 덴마크 사회운동가 로니 아버겔(Ronni Abergel)이 편견과 차별을 소통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기획한 프로그램에서 비롯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대성공을 거두며 전 세계 수십여 개 국으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도 국회도서관이 최초로 휴먼라이브러리 행사를 주최하였고, 이후 여러 기관 및 단체에서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많이 진행되었다.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면서 휴먼라이브러리를 지칭하는 용어가 여러 가지가 혼용되고 있다. 먼저, 리빙라이브러리(living library)는 로니 아버겔이 사용하는 등 가장 먼저 쓰였던 용어로,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서 생생하게 대화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편견, 선입관 그리고 고정관념을 줄이자는 의도를 강조한 것이다. ‘숨쉬는 도서관은 살아 숨 쉬는 사람책을 읽으며 깊은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작용하는 독서가 가능하다는 관점을 강조한 것이다. 위의 명칭들은 자관에서 추구하는 휴먼라이브러리의 가치를 나타낸 것으로 사실상 그 본질은 모두 같은데서 비롯되었다.(조찬식, 2014)




2. 휴먼라이브러리와 사람책의 특징



2013, 미근동공작소의 사람책



 희망제작소(2014)는 휴먼라이브러리의 특징을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휴먼라이브러리는 무형식을 추구한다. 따라서 주제에 제약을 두지 않고 참가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대화 질문으로 진행한다. 둘째, 휴먼라이브러리는 다양성을 추구한다. 휴먼라이브러리는 주제, 공간, 참여자 모든 것이 개방되어 있다. 장소도 구애받지 않으며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다. 셋째, 휴먼라이브러리는 저예산을 추구한다. 휴먼라이브러리의 모든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한다. 사람책도 자원봉사 활동이며, 각 지역에서 행사나 이벤트를 추진할 때는 스스로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위의 세 가지 특징은 모두 사람책이 휴먼라이브러리의 핵심 자원이기 때문에 나타난다. 휴먼라이브러리의 원칙은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한다. 사람책도 마찬가지로 자원봉사활동으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속감을 가지고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한 사람책을 구축하는 게 휴먼라이브러리의 존폐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일회성 이벤트의 비중이 높은 것은 바로 사람책 섭외와 관리가 힘들다는 게 주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3. 서울시 휴먼라이브러리 현황


1)노원 휴먼라이브러리 http://www.humanlib.or.kr/


 노원휴먼라이브러리는 국내 최초의 상설 휴먼라이브러리로 2012321일에 개관하였다. ‘나눔·소통·공감을 운영방향으로 하여 각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활발한 사람책 활동을 통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의 극복을 운영 목표로 삼고 있다. 찾아가는 휴먼라이브러리는 접근성이 불편한 노원구 다른 지역을 순회 방문하여 이벤트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한다. 청소년들과의 나눔 사업을 위해서 사람책과 대화라는 대규모 청소년 직업체험 축제를 연 2회 운영하고 있다.


 기존의 휴먼라이브러리와 다른 특이점은 소통에 관한 사업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원 휴먼라이브러리는 학교경쟁위주 교육과 이로 인한 소통문화의 부재를 문제점으로 제기하였다. 소통문화의 발전을 위해 소통인식교육, 가족소통상담실, 소통활동가 양성학교, 가족 소통캠프 등을 진행하고 있다.

 


2)서울 휴먼라이브러리 http://www.seoulhumanlibrary.org/


 서울 휴먼라이브러리는 서울시립대학교가 운영하는 지역 중심의 도서관이다. 사람책을 발굴하고 이용하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고 있다. 나눔, 소통, 공감을 바탕으로 지역적 기반을 넘어서 역사에서 사라져 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후대에 전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물 인터뷰 사업과 마을 인물 찾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사람책을 온라인으로 만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해두었다.

 

3)서울숲 리빙라이브러리 


 서울숲 리빙라이브러리는 서울숲에서 진행되며 청소년 멘토, 서울숲사랑모임, 한양대학교 부속고등학교 TEEN’Seoul 동아리가 함께 운영하는 청소년 프로그램이다. 섭외, 홍보, 진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준비과정을 청소년 동아리가 기획하면서 이용자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청소년이 주 대상인만큼 편견에 대한 이해보다는 꿈, 진학 그리고 정체성을 찾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4. 참고문헌


조찬식. (2014).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9-28.

희망제작소. (2014). 휴먼 라이브러리 운영자를 위한 안내서. 서울: 희망제작소 교육센터.

서울 휴먼라이브러리 http://www.seoulhumanlibrary.org/index.html

저작권 무료 이미지를 사용하였습니다.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 뭐라고  (0) 2016.12.05
콜센터 / 고객센터 알바 후기  (4) 2016.11.26
[8주차] 마트 알바 후기  (0) 2016.11.24
[4주차] 마트 알바 후기  (0) 2016.11.23
[3주차] 마트 알바 후기  (0) 2016.11.23
댓글